아라뱃길 크루즈 여행~~

난치병아동돕기운동본부·희망세움터

베데스다 조기교육원

에덴의집

빨간우체통 대민봉사활동^^

금융계 큰 손 '우체국 금융' 민영화 논란

 

정부기관인 우정사업본부는 금융계의 큰 손으로 불리기도 한다. 점포가 전국에 3600여개에 달하는데다 예금과 보험을 합하면 자금규모가 100조원에 이른다.

특히 우체국예금은 떼일 염려가 없다는 점에서 타 금융사에 비해 매우 안정적인 점이 장점이다.

우정사업본부는 이메일 등 전자우편의 사용이 보편화함에 따라 통상 우편의 감소로 우편사업에서 적자를 내고 있다. 지난해에는 700억원의 적자가 났다.

 

우정사업본부가 금융과 택배, e쇼핑에 집중하는 이유다.

이에 대해 민간금융기관들의 불만이 적지 않다. 정부의 직접운영으로 인해 불공정경쟁의 소지가 있기 때문이다. 은행 등 민간 금융사들은 우체국이 법인세 부담이 없는 등 유리한 조건으로 경쟁을 하고 있다고 지적해왔다.

정부도 우체국 금융의 제도개선방안을 검토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우체국과 민간 금융기관간의 역할 재정립이 주요 내용이다.

이러한 때에 한국금융연구원이 최근 중장기적이라는 단서를 달았지만 우체국금융의 민영화를 추진해야한다는 의견을 내놨다.

현재 우체국금융은 정부조직으로 남아있는데 우선 공사화한 후 완전 민영화로 가야한다는 주장이다.

 

독일의 경우 공사, 주식회사 과정을 거쳐 지난 2009년 정부지분을 도이치방크에 매각해 완전 민영화했다.

연구원은 ‘우체국금융 민영화의 해외사례와 정책적 시사점’이란 보고서에서 “우체국금융은 국가가 국민저축증대를 통해 재정자금을 마련하려는 목적으로 시작돼는데 금융환경의 변화로 우체국금융의 설립취지 및 존속이유가 퇴색했다”고 지적했다.

우리나라는 60년대 경제개발5개년 계획을 추진하는 과정에서 정부가 자금동원을 위해 저축장려정책등을 시행하면서 우체국금융이 활성화됐다.

 

이 보고서는 우체국금융의 민영화는 중장기적으로 추진하되 우선은 공정경쟁기반을 조성하는 것이 시급한 과제라고 주장했다.
-출처 초이스경제 김의태 기자  |  etkim88@choicenews.co.kr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946 2014년도 우체국공익재단 공익사업 위탁 공모 file 아주 2013.12.03 296
945 집배원 3명 업무도중 잇따라 사망…노조 "과중한 업무부담이 안전 위협" 아주 2013.12.02 322
944 주당 65시간 일 '헉헉대는 집배원'노동자운동硏 조사 아주 2013.12.02 378
943 2015년 5자리 우편번호,현행 6자리에서 변경 “우리 집 새 우편번호는?” file 아주 2013.11.25 435
942 일주일 새 집배원 두 명 사망...장시간 노동 개선 요구 아주 2013.11.25 303
941 무주우체국 집배원 김정순씨, 배달중 할머니 목숨구해 file 아주 2013.11.18 343
» 금융계 큰 손 '우체국 금융' 민영화 논란 아주 2013.11.17 335
939 [따뜻한 이웃들의 이야기]우편배달 중 쓰러진 할머니 구해낸 이정두 집배원 file 아주 2013.11.17 357
938 금융硏 "우체국금융, 민영화해 타 금융기관과 공정경쟁기반 조성해야 아주 2013.11.11 325
937 우본, 재택위탁집배원 처우개선 검토 아주 2013.11.08 304
936 [우정이야기]우체국 알뜰폰 ‘대박’ 비결 아주 2013.11.06 355
935 우체국 집배원들 복지 도우미로 나섰다 아주 2013.11.03 286
934 “동아시아 우정노동자 FTA 공동대응해야” 아주 2013.11.01 288
933 [2013국감]홍문종 "비리·부정문제 별정우체국 폐지해야" 아주 2013.11.01 336
932 [2013 국감] 재택위탁집배원, 처우 개선될까? 아주 2013.11.01 383
931 [우정이야기]현행 우편번호 폐지? 아직은 아니에요 아주 2013.10.30 355
930 우정노조 "올해 안으로 주 5일제 시행방안 마련하라" 아주 2013.10.22 284
929 소외 계층 '복지 도우미'로 나서는 집배원들 아주 2013.10.22 310
928 집에서 넘어져 다친 80대 노인 구한 집배원 file 아주 2013.10.20 322
927 [국감 2013] 우본, 무기계약직 전환…무늬만 정규직 file 아주 2013.10.11 322
CLO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