웹호스팅 서비스 선정기준
2008.01.06 09:52
웹호스팅 서비스 선정기준
필자는 이전에 "웹호스팅 서비스 선정기준" 이란 글을 올렸었다.
그 동안 몇가지 경험을 토대로 구체적인 사항을 첨언하고자 한다.
국내 웹호스팅 서비스 회사들을 조사해보면 크게 호스팅 서비스 전문회사와 홈페이지 제작회사의 호스팅 서비스로 나누어 진다고 앞서 이야기 한 바가 있다.
호스팅 전문회사를 이용하는 것이 좋으며, 다음과 같은 항목을 기준으로 조사해 본다면 좋은 회사를 고르는데 도움이 될것이라 생각하고 정리하여 기술한다.
첫째, "운영 회사명"와 "대표자명"이 기술되어 있는가?
사업을 하는데 있어 서비스 주체와 책임자를 명시하는 것은 지극히 당연한 일이다.
하지만, 일부 개념없는 사업자나, 개인이 취미로 하는 경우은 이런 정보를 찾아보기 힘들 것이다.
웹호스팅 서비스도 엄연히 온라인 사업이다. 서비스에 자신이 있다면 왜 대표자명을 당당히 표시하지 않을까?
둘째, 호스팅 서비스를 위해 필요한 국가가 정한 '의무사항'을 지키고 있는가?
호스팅 서비스도 전자상거래이며, 이는 통신법상 다음 세가지의 면허증을 발급받도록 의무화 되어 있다.
- 사업자등록번호, 통신판매신고번호, 부가통신사업번호
위 세가지 등록번호가 기입되어 있지 않다면, 기본에 충실한 회사라고 할 수없지 않을까?
세째, 고객 불만을 즉시적으로 들을 수 있고 고객이 불만사항의 답을 알 수 있도록 하는 "Q&A게시판"이 노출되어 있는가?
앞서 이야기 한 바가 있지만, 가장 중요한 사항이라고 할 수 있다.
최근 몇몇 업체들은 오픈되었던 Q&A게시판을 글쓴이만 보게하는 게시판으로 바꾸거나, 아예 1:1문의로 변경해 버린 사례를 접하곤 한다.
왜 그렇게 했을까?
이유는 간단하다. 터져나오는 불만사항을 외부에 알리기 싫기 때문이다.
고객 서비스 품질이 우수하다면, Q&A게시판은 공개될 것이다.
디자인이 이쁜가를 의미하는 것만은 아니다.
사용자가 사이트를 접했을 때, 안정감있는 서비스임을 느낄 수 있게 하는 것도 호스팅 서비스회사의 책임이다.
달랑 게시판 하나로 서비스 하는 회사, 칙칙한 디자인에 게시판으로 서비스 신청을 받는 회사를 어떻게 믿을 수 있단 말인가?
다섯째, 가격 수준이 적당한가?
이는 고객 개인의 사정에 맞춰서 제시하는 가격을 판단할 문제이기도 하다.
하지만, 웹사이트 운영에 있어, 방문자가 아주 많은 사이트가 아니라면, 일 트래픽 5G내외에서 해결이 된다.
그 이상이 되는 사이트의 안정적인 운영을 위해서라면 '단독서버호스팅'을 고려해야 할 것이기 때문이다.
그렇다면, 5G내외의 서비스를 받기 위해서 적당한 가격은 얼마일까?
필자의 생각으로 최대 일년 비용이 20만원을 넘어서는 안된다고 생각한다.
여섯째, 백업 서비스는 지원되고 있는가?
웹사이트 운영에서 사용자 부주의로 파일을 지우거나, 혹은 서버 장치의 물리적 에러가 발생하여 데이터가 손실되었을때는 백업 장치의 유무는 큰 차이를 보여준다.
백업의 1차적인 의무는 사용자에 있다고는 하나, 웹호스팅 서비스 회사는 자신들이 운영하는 장치의 에러 발생시를 대비해서 백업은 의무적으로 수행해야 할 기본 서비스로 여겨지기 때문이다.
이상에서 기술한 것을 바탕으로 서비스 회사가 제공하는 부가서비스와 고객지원 정도 등을 면밀히 살펴본다면, 보다 나은 서비스를 제공하는 회사를 찾을 수 있을 것이다.
값이 싸다고, 서비스 회사에 대한 조사없이 덜컥 계약을 했다가 후회하면 이미 늦다.
이미 사이트를 운영하고 있다면, 자신의 웹사이트를 호스팅하는 서비스 회사가 어떤 곳인지, 서비스를 받아야 할 입장이라면 어떤 회사에서 받아야 하는지는 조사하는 것은 소비자의 의무라고 생각한다.
댓글 0
번호 | 제목 | 글쓴이 | 날짜 | 조회 수 |
---|---|---|---|---|
41 | 좋은 글의 요건 | 관리자 | 2008.01.06 | 1422 |
40 | 영원히 들어도 좋은 말 | 관리자 | 2008.01.06 | 1200 |
39 | 삶에 즐거움을 주는 좋은글 | 관리자 | 2008.01.06 | 1097 |
38 |
자동차 장애자차
![]() | 관리자 | 2008.01.06 | 1138 |
37 |
자동차 점검장비
![]() | 관리자 | 2008.01.06 | 1188 |
36 |
자동차 비상시 응급조치
![]() | 관리자 | 2008.01.06 | 889 |
35 |
자동차 실내장비의 사용방법
![]() | 관리자 | 2008.01.06 | 1037 |
34 |
자동차 각부의 개폐방법
![]() | 관리자 | 2008.01.06 | 1079 |
33 |
자동차 계기판및 표시등
![]() | 관리자 | 2008.01.06 | 3745 |
32 |
자동차 운전장비의 사용방법
![]() | 관리자 | 2008.01.06 | 819 |
31 |
자동차 각종 스위치 사용방법
![]() | 관리자 | 2008.01.06 | 917 |
30 |
자동차 효과적인 운행방법
![]() | 관리자 | 2008.01.06 | 730 |
29 |
자동차 안전을 위한 운행 방법
![]() | 관리자 | 2008.01.06 | 765 |
28 | 국제도메인 낙장일 | 관리자 | 2008.01.06 | 974 |
27 | 개명절차 | 관리자 | 2008.01.06 | 4673 |
26 |
비타민 10대 밥상
![]() | 관리자 | 2008.01.06 | 976 |
» | 웹호스팅 서비스 선정기준 | 관리자 | 2008.01.06 | 4549 |
24 | 경쟁력 있는 프로그래머의 조건 | 관리자 | 2008.01.06 | 662 |
23 | 건강 10칙 | 관리자 | 2008.01.06 | 886 |
22 |
태백산[太白山]
![]() | 관리자 | 2008.01.05 | 248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