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류관리사 시험준비 방법
2008.06.10 23:35
물류관리사 시험준비 방법
첫 번째로는 물류의 기본 개념파악 입니다.
물류에 처음인 분이라면 먼저 책의 내용에 등장하는 그 용어부터 생소할 것입니다.따라서 처음부터 모든 것을 이해하고 넘어가려고 하기보다는 가능하면 빨리 교재(물류관리론, 화물운송론, 보관하역론)의 전체 내용을 읽어보는 것이 중요합니다.(물류관련법규는 전후에 관계없음) 2번정도 읽고 난 후부터 자세히 파헤쳐 공부하는 것이 좋습니다. 적어도 자격증을 취득함으로써 해당 분야에 대해 내가 기본적인 지식과 수행능력을 갖추고 있다는 것을 공개적으로 어필할 수 있으며, 뜻하고자 하는 바를 펼칠 수 있게 하는 기회를 더 얻을 수 있는 것입니다.
두번째로는 교재의 선택입니다.
기본교재는 한가지만 선택하여 반복적으로 보는 것이 중요합니다. 문제집은 2개정도 보는 것이 좋습니다. 교재는 2000년도 이전에 출간된 책은 구입하지 마십시오. 가능하면 최근의 교재를 구입하시는 것이 좋습니다.(개정된 내용이나 최근의 출제경향 파악에 좋음으로) 또한 정식 출판사를 통해서 출간된 책으로 선정하십시오.(텔레마케팅을 통해 판매되는 교재는 제본되어 판매되는 것으로 대부분 책의 내용이 매우 부실합니다.) 그리고 주위에서 합격자들이 좋다고 하는 것을 선택하시면 처음 공부하시는 분들에게 큰 무리가 없을 것입니다.
세번째로는 자신감입니다.
지난 5회 시험에서 공개된 시험내용을 보았다시피 책의 내용에서 90%가 출제되고 있으므로 60점만 맞으면 합격하는 시험에서 합격하지 못할 이유가 없다는 자신감을 가지고 도전하십시오. 새로이 출제되는 10%의 부분이나 본인이 공부하면서 이해하기 어려운 부분은 과감하게 제외시키고 60점에 목표를 둔다면 합격할 확률은 그만큼 올라가며 노력에대한 댓가는 반드시 올거라고 생각됩니다.
과목별 학습방법
물류관리론
- 재화의 효용을 극대화시키기 위해서 운송, 보관, 하역, 포장, 정보, 유통가공 등의 제활동을 유기적으로 조정하여 종합적이고
체계적으로 관리하는 것을 공부
- 이 과목은 물류의 전반적인 이해가 필요하다.
- 특히, 이 과목은 무조건 외우기 보다는 각각이 뜻하는 용어 등을 이해하고 물류와 연관된 경영, 정보 시스템등과 연계하여서
공부해야 한다.
- KEY WORD: 물류 정보 시스템, 물류합리화, 표준화 및 공동화, 물류관리조직, 물류비
화물운송론
- 운송(제품을 한 장소에서 다른 장소로 이동시키는 물리적 행위)물류에 대한 전반 적인 내용을 공부
- 이 과목은 다른 과목에 비해 쉽다. 그 이유는 이해보다는 외워야 하기 때문이다. 운송과 관련된 전문적인 용어가 많이 나온다.
처음 물류를 접하는 사람에게는 어쩌면 어려울 수도 있지만 어느정도의 시간을 투자하면 그 만큼의 성과가 나온다.
각각의 용어에 대한 정확한 의미를 알아야 한다.
- KEY WORD: 공로운송, 철도운송, 해상운송,복합운송, 수배송
보관하역론
- 재화를 어떻게 보관하고, 어떤 방식으로 하역하는가에 대한 전문적인 내용을 공부
- 이 과목이 물류관리사 시험 과목 중 가장 어려운 과목이다. 복잡한 용어도 많이 나 올 뿐만 아니라 물류를 계속 공부해왔던
사람도 어렵게 느끼는 계산 문제가 특히 나 많이 출제된다. 계산문제는 경영과학(OR)과 많은 연관성이 있음을 밝힌다.
그 나마 보관에 비해 하역 부분은 조금 쉽게 느껴질 수도 있다. 하지만 이 부분 역 시 계산 문제를 간과할 수는 없다.
- 시간이 된다면 경영과학 책을 한 권 구입해서 풀어보기 바란다. 계산 문제라고 해 서 미리 겁먹을 필요는 없다. 무엇보다
이해가 필요한 부분이다. 아마도 고등학교 때 수학을 잘 했던 이라면 조금은 유리하지 않을까?라는 생각도 든다.
가장 많은 시간과 노력이 요구되는 과목이다.
- KEY WORD : 자가창고, 영업창고, 재고관리, 재고관리기법, 유닛로드 시스템, 하역기기
물류관련법규
- 물류와 관련된 여러가지 법을 공부한다.
- 물류관리사 시험을 치르는 많은 이들이 이 과목으로 인해서 떨어진다. 어쩌면 의 아해 할 수도 있지만 모든 것을 외워야
한다는 부담감이 생각보다 큰 것이 사실이다. 그러다 보니 막판에 포기하는 사람들이 내 주위에 많이 있었다.
- 무엇보다 인내심이 요구된다. 시험치기 일주일 전부터 공부를 하게 되면 별 무리 없이 이 과목을 치를 수가 있다. 다시 한 번
강조하지만 인내심이 그 무엇보다 필 요하다.
국제물류론
국제물류론은 2007년도에 처음 물류관리사 시험과목에 추가된 과목으로 종전의 화물운송론 과목에서 다루었던 육상, 해상, 항공운송 및 복합운송의 내용을 조금 더 심도 있게 다루었으며, 국제무역상무와 글로벌 물류환경 및 동향 등 국가 간의 무역을 기초로 생산과 소비활동에서 이루어지는 제반 물류활동의 폭 넓은 이해를 위한 내용으로 구성되어 있다.
2007년도 기출문제를 분석해 볼 때 무엇보다도 국제무역실무 및 관련 용어의 내용을 충분히 숙지하고 이를 기초로 파생되는 다양한 운송과정에서의 물류활동과 공항만시설 및 물류관련 장비 등의 내용을 충분히 이해해야 한다.
또한 무역실무용어와 INCOTERMS 2000, UCP 600과 관련된 내용은 영문해석과 연계한 문제가 2007년도에 3문제 정도가 출제되었으므로 이에 대한 대비도 필요하다.
물류의 기원
(1) 1912년 미국의 마켕팅론의 개척자인 ARCH.W.SHAW 박사가 하버드 대학 학술지 에 "Physical Distribution[물적유통(物的流通)]"이란 용어를 처음 사용함.
(2) 일본에서는 1956년 일본생산성본부가 미국에 파견한 "유통기술전문시찰단의 귀 국복서"에서 P.D라는 용어를 처음 사용하면서 물류의 어원이 됨.
(3) Logistics란 불어로 병참이란 군사용어로서, 세계 2차대전 중 미육군의 군사에 필요한 물자, 무기를 조달, 수송, 보관하는 병참활동으로 시작됨. 1950년대부터 물류의 혁신을 꽤한 미국은 넓은 땅과 많은 차지주를 갖고 있기 때문에 물류의 절박성이 일찍 등장하게 됨
(1) 미국 A.M.A(American Marketing Association, 1948년) 정의
- 재화를 생산점(시간과 장소)으로부터 소비 또는 이용점까지 이동하고 취급하는 것임. 유통활동의 판매물류관리의 측면에
국한됨.
(2) 미국 물류관리협의회(NCPDM, 1962년) 정의
- 생산라인의 종단에서 완제품을 능률적으로 소비자에게 이동시키고 또한 경우에 따라서는 원자재를 공급원천으로부터 생산
라인의 시발점까지 이동시키는 것을 포함하는 광범위한 활동을 나타내기 위해 제조 및 상업부문에서 쓰이는 용어로서
이 활동에는 화물운송, 보관, 하역, 시장예측 및 고객서비스를 포함함
(3) 일본 통계심의회 정의
- 물류적, 사회적인 물(物)의 흐름에 관한 경제활동으로 물자유통과 정보유통도 포 함된다.
(4) 일본기계진흥협회(산업구조심의회,1965년)
- 유형,무형의 "물리적인 재(財)"가 생산자에서부터 수요자에 이르는 실물적인 흐 름이며, 상거래에서도 공간적, 시간적인
가치의 창조에 공헌하는 것임
(1) 물적유통의 물류 개념
- 공급자인 생산자가 소비자에게 재화(완성품)를 공급하는 과정
(2) 로지스틱스의 물류 개념
- 초기단계의 경제활동인 원재료나 부품의 공급자 단계에서부터 생산단계를 거쳐 최종소비자에게까지 물자가 전달되는
총체적인 과정임. 즉 조달물류, 생산물류, 판매물류를 통합한 넓은 개념임.
(3) 물류의 실현과정
① 수송의 시대(Transport Management)
② 물류의 시대(Physical Distribution)
③ 로지스틱스의 시대(Logistics Management)
댓글 0
번호 | 제목 | 글쓴이 | 날짜 | 조회 수 |
---|---|---|---|---|
7 | 2009년도 유통관리사 시험일정 | 아주 | 2009.01.25 | 3097 |
» | 물류관리사 시험준비 방법 | 아주 | 2008.06.10 | 8826 |
5 | 올해부터 12회 물류관리사 주관처가 변경되었습니다. | 아주 | 2008.05.18 | 2792 |
4 | 2008년 제12회 물류관리사시험일정 | 아주 | 2008.05.08 | 3438 |
3 | 2008년 유통관리사,비서,워드프로세서,컴퓨터활용능력,상공회의소 한자,전자상거래운용사,전자상거래관리사,한글속기,프레젠테이션,외국어능력시험 등 시험일정 | 아주 | 2008.02.10 | 1729 |
2 |
정보검색사 3급 요점정리
![]() | 관리자 | 2008.01.01 | 18426 |
1 | 시험정보 테스트 | 관리자 | 2007.12.29 | 3903 |